70대 중반의 여자 환자분이 허리와 등 부위의 갑작스런 통증으로 내원하였다. 평소 무릎통증은 있었으나 허리통증은 없었다고 한다.

낙상을 하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외상의 병력도 없어서 단순 요추 염좌이거나 근육통으로 생각하여 물리치료와 함께 진통소염제, 근이완제를 처방하였다. 약 일 주일간 꾸준히 치료하였으나 증상의 개선이 없이 오히려 더 아프다고 호소하셔서 뒤 늦게 엑스선 검사를 하게 되었고 확인 결과 요추 1번 뼈의 압박골절이 관찰 되었다.

외상없이 골절이 생기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기 때문에 좀더 자세한 병력 청취를 하니 아프기 전날 무거운 이불을 장위에 올려 놓다가 잠깐 아팠다는 말을 하셔서 골다공증이 매우 심할 거라 예상하고 추가로 골밀도검사를 시행하게 되었고 그 결과 T-점수가 -4.0 (뒤에 설명 예정)으로 매우 심한 골다공증이 있는 상태였다.

상급병원에 전원하여 의료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척추체성형술을 시행한 후에야 증상이 개선되어 해결된 경우였는데 이와 같이 다치지 않고 허리를 구부리거나 기침과 같은 가벼운 신체 활동에 의해서도 골절이 되는 병이 골다공증이다.

골다공증은 그 자체로는 통증이 없는 골질환으로 뼈의 퇴행성 변화로 뼈의 기질과 무기질이 감소하고 미세구조가 손상되어 골절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상태가 되는 질환으로 정의 할 수가 있다. 진료실에 오는 환자 중 많은 분들이 허리, 무릎, 어깨 등 여기 저기 아프니 자신이 골다공증이 아니냐고 문의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결론적으로 말하면 골다공증으로 인한 통증은 아니고 각각의 부위에 개별 질환이 생겨 아픈 것이고 골다공증 자체로 인한 것은 아니라고 설명을 하게 된다. (null)

우리 몸의 뼈는 리모델링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계속 신생뼈가 생기고 오래된 뼈는 흡수되어 없어지는 과정을 거치고 10년이 지나면 완전히 새로운 뼈로 바뀌게 된다.

이 과정은 파골세포(Osteoclast)와 조골세포(Osteoblast)에 의해 일어 나며 최근 사용중인 골다공증 치료제들이 이러한 과정을 조절해서 골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쓰이고 있다.

뼈는 30대쯤 보통 최대 골량을 보이다가 40대 이후 차차 골밀도가 떨어 지기 때문에 젊을 때 최대 골량을 유지 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한데 칼슘과 Vit-D, 단백질의 충분한 섭취가 필요하고 근력을 유지 하기 위한 체중부하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적절히 할 것을 권유한다.

골다공증은 유전적인 성향이 있어 모친이 골다공증 있으면 더 잘생기며 조기폐경 있는 경우, 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 복용, 마른 체형, 커피나 차를 4잔 이상 꾸준히 마시는 경우, 알코올의 과다 섭취,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있을 때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서 주목 할 것은 마른 체형의 사람이 골다공증이 많이 생긴다는 것인데 젊어서 심한 다이어트로 영양이 결핍되면 후에 골다공증을 예약해 놓은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을 명심하고 건강한 다이어트를 젊을 때부터 실천하기 바란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보통 DEXA 장비를 이용하여 T-점수를 산정해서 진단하는데 -1.0이상이면 정상이고 -1.0~-2.5사이면 골감소증, -2.5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진단 하게 된다.

골다공증 검사는 여자는 65세 이상, 남자는 70세 이상이면 검사를 하라고 WHO에서 권고하고 있으나 골절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거나 골다공증 골절의 과거력이 있으면 그 전에라도 검사 해야 한다.

골감소증이 있는 환자는 보통 칼슘과 Vitamin-D제제를 경구제로 복용 하게하고 꾸준한 운동과 균형 잡힌 식이 조절을 교육하게 되며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는 비스포스포네이트제제(BSP), 여성호르몬유도체(SERM) 등의 골흡수억제제를 주로 치료제로 사용하게 되는데 각각의 약제는 환자의 상태와 여건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나 현재는 80%정도로 대부분의 한자가 BSP제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경구제와 주사제가 있고 효과는 두 가지가 비슷한 것으로 되어있다.

이 약은 최소 3년 이상 꾸준히 사용해야 골밀도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최대 15%이상 골량의 증가를 보여 50%정도 골절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장기간 투여시(보통 4-5년 이상) 드물지만 턱뼈의 괴사나 비전형적 대퇴골 골절이 보고되고 있어 휴약기간을 두는 등의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경구제의 경우 장에서 흡수율이 낮아 반드시 공복으로 복용하게 하고 200cc이상 충분한 물을 섭취하게 해야 하며 누우면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어 복용 후 한 시간 정도는 누워 있는 자세를 피하는 것이 좋다.

1회요법(상품명;포사맥스,리세넥스플러스), 1회 요법(상품명; 리세넥스엠)이 있다. 위장 장애나 흡수에 문제가 있을 경우 주사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3개월 1회 또는 년 1회 요법 등이 있으며 최근에 BSP 제제와는 다른 기전으로 파골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6개월 1회 주사제인 데노수맵(상품명; 프롤리아) 등이 새로 소개되어 환자에게 쓰이고 있다.

골다공증은 무증상의 소리 없이 진행되는 뼈의 퇴행성 변화이나 골절의 위험성을 높여 특히 대퇴골 골절의 경우 1년내에 사망률이 20%가 넘을 정도로 심각한 치사율을 보일 뿐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을 최악으로 떨어뜨려 환자와 가족 모두의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수반하는 질환임을 명심하고 의사와 상담하여 환자에 맞는 적절한 치료제를 선택하여 치료하고 동시에 밤에 너무 어둡게 하지 않고, 문턱을 낮추 등의 주변에 넘어져서 다치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바꾸는 사소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최근 골대사학회에서 발표한 골다공증의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70%이상의 환자가 자신의 임의대로 치료를중단한 것이라고 발표하여 꾸준한 약물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가 있다.

골다공증은 골절이 없으면 치료의 필요성을 못 느끼는 침묵의 질환이고 고령의 환자들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치료를 위해 이미 여러 약물치료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추가로 약을 복용하는 것에 매우 부담을 느끼게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의사와 면밀한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제를 선택하여 치료하면골절의 위험성을 줄여 건강하고 평범한 우리의 일상을 노후에도 누릴 수 있을거라 확신한다.

 

 

 

 
저작권자 © 은평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